1920년 전후 제작된 지형도를 따라 칠갑지맥을 따라가 본다.
금북정맥 상의 국사봉과 칠갑지맥이 분기하는 헬기장이 있는 봉우리는 427m봉으로 표기돼 있다.
봉갑리의 갑파나 상가파 , 하가파 할때의 '파'는 고개나 언덕을 뜻하는 말이랜다.
쌍대리 일대다.
여기서도 재미난게 하나 눈에 띈다.
줄바위다.
줄바위란 바위가 일렬로 길게 늘어섰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니 굳이어 한자화 하자면 현암(絃岩) 일게다.
공주시청 홈피에도 그리 표기돼 있다.
헌데 일제는 현암(絃岩)이라 표기하지 않고 주을암(注乙岩)이라 표기했다.
카타카나 역시 'チエウルバウイ'라 표기했다.
그대로 읽으면 '치에우루바우이' 인게 비다.
아마도 줄바위라 쓰고 싶은데 쟤들 글로는 저따위로 밖에 표현이 안되는가 보다.
어쨌거나 여기서도 우리의 지명을 우리식 그대로 표기하려 무지하게 애를 쓴 흔적이 보인다.
또하나 재밌는건 주을암(注乙岩) 할때 새을(乙)자는 우리글의 'ㄹ' 받침과 같은 역할을 한댄다.
이건 우연히 신경수님의 오서단맥 산행기를 읽으면서 알게된 사실인데 옮겨보자면 아래와 같다.
입구에 질재 안내 오석비가 있어 읽어본다
"질재 질재는 주포면 보령리와 청라면 장산리를 잇는 고개이다 과거 보령현 시절에는 청라 화성 청양 방면으로 통하는 큰 길로 세종실록지리지에 기재된 地乙峴으로 보아 아주 오래전부터 불러온 지명이다 -중략-
이곳이 역사적으로 잊지못할 고개길이었음을 기리기 위하여 이 돌을 세운다"
참고로 순수 우리말인 "질"을 한문으로 쓰다 보니 地자에 乙자를 합쳐 즉 "지+ㄹ"로 질로 읽혀지는 것이다 즉 우리말인 ㄹ을 乙로 비슷한 모양으로 표기를 한 것이다 이런 한문 표기가 더러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돌石자에 새乙자를 합쳐 "도+ㄹ"로 돌이라고 읽는다
역시나 쌍대리 일대다.
지난번 산행을 하면서 지나쳤던 복대동이나 왕대동 그리고 한석골도 보인다.
지도상엔 그 명칭이 표기되지 않았지만 한석골 아랫쪽으론 짐때울고개도 보이고 또한 거까지 길이 이어진걸로 보아 당시에도 꽤 큰규모의 고개였던듯 하다.
또하나 재밌는건 우측 하단부의 토끼울 이다.
한자로 토동(兎洞)이라 표기돼 있고 카타카나로 'トトン'이라 표기돼 있다.
그대로 읽으면 '토동' 이다.
미루어 짐작컨데 우리의 선조들께선 당시에 토끼울이란 마을을 토동이라 불렀던가 보다.
칠갑지맥은 짐대울고개 근방서 묵방단맥을 분기시키고 남진한다.
그 부분이다.
내가 걸으며 느끼기엔 마치(馬峙)는 그저 조그만 고갯길에 불과했는데 이 지형도 상으론 꽤 큰 규모의 고갯길로 보인다.
지금은 V자로 컷팅되어 포장도로가 뚫렸단 소식을 들었다.
대치(大峙)와 칠갑산 일대다.
대치는 최익현 선생의 동상이 서있는 거길거다.
칠갑지맥을 타면서도 한차례 언급이 있었지만 대치의 순우리말 표기는 '한티' 다.
한티할대 '한'은 크다는 뜻이니 다른말로 표현하면 '큰고개'도 내내 같은 말일게다.
칠갑지맥 좌측의 까치내와 낙지리 일대다.
지난 여름에 피서를 다녀왔던 곳이다.
근데 하천의 이름중에 의아한게 있다.
까치내를 한자화 해서 작천(鵲川)이라 표기한것과 익히 들어오던 지천(之川) 까진 납득이 가는데 금강천(琴江川)은 또 뭐냐?
금강천 할때 금(琴)자도 생소하고..........
낙지리와 적곡리를 잇던 백토고개 일대다.
내가 걸으며 확인키론 대사천 마을은 장평면 낙지리 , 소사천 마을은 정산면 적곡리 였은데 이 지형도상엔 둘다 적곡면 지역으로 표기돼 있다.
소사천 마을 우측의 석리(石里)에서도 역시나 우리식 발음을 그대로 표기한게 뵌다.
석(石)자 옆에 카타카나로 'トル'이라 표기 했다.
그대로 읽으면 '도루' 즉 '돌' 이다.
대삼각점이 박혔던 명덕봉도 보이고 지독한 잡목에 힘겹게 했던 칠갑지맥도 그 끝을향해 치닫던 곳이다.
칠갑지맥의 끝점 금강과 지천의 합수점 이다.
역시나 지천의 명칭이 아리송 하다.
금강천(琴江川)이라 표기후 가로열고 지천(之川)이라 표기 했다.
'산 > 이래저래'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금북정맥 납운치(納雲峙) (0) | 2011.12.29 |
|---|---|
| 일제때 고지도-묵방단맥 (0) | 2011.12.22 |
| 일제때 고지도-공주시 유구읍 (0) | 2011.11.14 |
| 일제때 고지도-충청남도 공주시 (0) | 2011.11.09 |
| Vantage Point 프로그램 활용법 (0) | 2011.04.29 |
